완주군 소양면 역사를 만나보는 답사길~♡
하예랑과 함께하는 완주군 소양면 문화유산탐방~!!
청명하고 파아란 봄하늘에는 장기화로 지쳐있는 코로나를 잠시 잊게 해준다.
자라나는 우리 아이들이 어디서나 맘껏 뛰놀며 다니는 풍경이 속히 오길 기도하면서 목적지를 향해 추울발~!!!


천왕문을 지키는 사천왕상은 소조사천왕상으로 보물제1255호.
조선시대 인조2년(1624년)에 제작된 소조사천왕상은 흙으로 빚은 사천왕상 중에 가장 오래되었다고 함.

#종루(보물 1244호)
조선 후기인 1857년(철종8년)에 제봉선사에 의해 대웅전과 함께 중건 된 것으로 종을 달아 놓은 십자형의 2층 누각임.
#완주송광사 종루는 평면형이 십자형으로 되어 있어, 평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특이한 형의 건축양식을 보여주고 있음.

# 대웅전(보물1243호)
철종 8년(1857년)에 제봉이 건립한 조선후기 건축의 전형적인 양식이라고 함.

대웅전 안에 있는 소조삼불좌상 및 복장유물( 보물 제 1274호)
본존불인 석가모니불(가운데)에서는 삼불의 조성기와 묘법연화경을 비롯한 불경 등 다수 복장품이 발견 되었다고 함.
1933년에 발견된 조성기에 의하면 인조5년 1641년 6월29일, 임금과 왕비의 만수무강을 빌고
병자호란으로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 가있던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의 조속한 환국을 기원하면서 만들었음을 알 수 있음.
완주송광사는 나라를 위한 #호국사찰로 지역의 불교문화를 이끌었음을 볼 수 있음

주출산 중턱에 건축된 전통사찰




완주 #위봉산성(사적 제471호)
조선전기 제1대 태조의 영정을 봉안하기 위해 축조한 성곽 임









